
지난 글에 이어 2탄에서도 클릭률 높이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A/B 테스트로 진행했던 경험담과 외부 광고 플랫폼에서 배너 광고를 걸었을 때의 경험담이 담겨 있다!
5) 상품의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면 배너 클릭률이 높아질까?
초기 테스트 시 배너에 이미지가 미치는 중요성을 깨닫고 나는 상품의 특정 부분을 확대해봤다. 이렇게 하면 배너 클릭률이 높아질까? 패딩 이미지를 가지고 테스트를 했다. 결과는 전체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이 더 효율이 높았다. 특정 부분을 확대하다보니 배너 문구에 오히려 상품의 이미지가 가려졌고, 이 결과가 역효과를 불러 일으킨 것 같았다.
6) 행동 유도 버튼은 꼭 넣어야 할까?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광고에서 '행동 유도 버튼'은 매우 중요하다. 전환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마케터 뿐만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통해 높은 전환율을 고민하는 입장에서는 버튼 속 문구를 '동사'로 할지 '명사'로 할지까지 테스트한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테스트에서 '동사+명령형'이 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배너 광고 역시 마찬가지다. 이 간단한 네모 박스가 가져오는 효율 차이는 크다. 특히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배너라면 가급적 행동 유도 버튼을 넣어 제작하는 것이 좋다.
7) 상품 이미지 or 모델 이미지? 어떤 배너의 효율이 높을까?

쇼핑 광고에는 모델이 많이 등장한다. 옷을 입은 모델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과 상품 이미지컷 자체를 보여주는 것, 어떤 것이 효과가 높았을까? 결과는 상품 이미지컷을 보여주는 것이 훨씬 효과가 높았다. 50%의 효율 차이를 보였는데, 개인적으로 이 테스트는 좀 더 해봤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이 있다. 모델이 유명인이었다면? 배너 사이즈가 좀 더 컸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일러스트 이미지와 실제 상품 이미지 간의 차이는 어떨까? 페이스북 광고에서 활용했던 이 결과는 일반적으로 실제 상품 이미지가 효율이 조금 더 높았다.
(+) 보너스
경품이미지가 들어가는 이벤트 배너 광고, 어떻게 제작해야 효율이 높을까?
지난 글에서 배경색을 가진 배너보다 이미지가 잘 보이는 하얀 배경을 가진 배너의 클릭률이 높다고 했었는데, 이 결과는 '이벤트' 배너를 제작할 때도 정확히 맞아 떨어졌다. 이벤트 당첨 상품을 지나치게 겹쳐 배치하거나, 강한 배경색을 입히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런 경우는 무조건 효율이 낮았다.
지금까지의 글을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 텍스트 보다는 상품 이미지가 배너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침.
- 이미지는 최대한 명확하게 보여주고, 시선을 분산시키는 요소는 최대한 없애는 것이 좋음.
- 배너 문구는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문자보다는 숫자로 표현해주는 것이 좋음.
- 중요한 정보일수록 배너의 '위, 좌측'에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임.
- '행동 유도 버튼'은 가급적 삽입하는 것이 좋음.
((이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 드립니다.))
'CONTENT 3 > 마케팅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폰 마케팅 실제 사례] 쿠폰 등록률을 높이는 방법과 예상 효과 산출하기 (0) | 2022.05.23 |
---|---|
[1탄] 클릭률(CTR)이 높은 배너 광고는 무엇일까? (+마케터 경험담이 담긴 최적의 배너 만들기) (0) | 2022.05.04 |